요즘 길거리를 지나가다 보면 무인사진관을 자주 볼 수 있어요.
특히 ‘인생네컷’은 지점 수가 많아 창업을 고민하는 분들도 많을 텐데요.
그렇다면 무인사진관이 실제로 얼마나 벌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? 🤔
오늘은 하루 매출 41만 원을 기준으로 한 달 예상 수익을 계산해 보고,
실제 창업 비용과 리스크까지 꼼꼼하게 따져보겠습니다.
📌 무인사진관 창업 비용, 얼마나 들까?
무인사진관 창업을 고려한다면 초기 비용을 먼저 따져봐야 해요.
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기준으로 ‘인생네컷’의 창업 비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✅ 창업 필수 비용 (약 9,200만 원)
- 인테리어: 2,800만 원
- 간판 및 사인: 1,000만 원
- 설비 및 직기류: 500~600만 원
- 기계(4대 기준): 4,800만 원
✅ 추가 비용 (약 1,500만 원)
- 가입비: 330만 원
- 교육비: 110만 원
- 계정 행사비: 55만 원
- 계약 이행 보증금: 300만 원
- 철거 및 냉난방 공사 등: 1,500만 원 추가 예상
✅ 임대차 보증금 (3,000만 원 기준)
이를 모두 합치면 총 창업 비용은 약 1억 4,500만 원이 됩니다.
만약 기계를 더 들이거나, 권리금이 있는 자리라면 비용은 더 올라갈 수 있어요.
📈 하루 41만 원 매출, 한 달 수익은?
공정거래위원회의 정보공개서를 참고하면
인생네컷 가맹점의 평균 하루 매출은 약 41만 원이에요.
✅ 월 매출 계산
41만 원 × 30.4일 = 약 1,246만 원
하지만 매출이 전부 이익이 아니죠? 🤔
각종 비용을 차감한 실제 예상 순수익을 계산해볼게요.
🔍 수익에서 빠지는 비용들
🎞️ 1. 원재료비 (인화지 비용)
무인사진관의 경우 재료비는 크지 않아요.
인화지 비용은 보통 매출의 5~6% 수준입니다.
💰 2. 로열티 (프레임 사용료)
- 기본 프레임: 매출의 8%
- 특정 IP(연예인, 캐릭터 등): 10~30%
- 평균적으로 약 15% 정도 차감
총 원가 차감 후 마진율:
(100% - 인화지 6% - 로열티 15%) = 약 79%
1,246만 원 × 79% = 약 984만 원
🏠 3. 월세 비용
무인사진관은 입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월세가 비싼 경우가 많아요.
이번 계산에서는 월세를 250만 원으로 가정합니다.
984만 원 - 250만 원 = 734만 원
🧹 4. 인건비 (청소 및 정리)
✅ 월 인건비: 30만 원
734만 원 - 30만 원 = 704만 원
🎭 5. 소품 및 소모품 비용
✅ 월 소품 비용: 20만 원
704만 원 - 20만 원 = 684만 원
🔌 6. 공과금 (인터넷, 전기, CCTV)
✅ 월 평균 공과금: 40만 원
684만 원 - 40만 원 = 644만 원
🏆 한 달 예상 순수익: 644만 원
⚠️ 무인사진관 창업, 정말 괜찮을까?
현재 시장 포화 상태이므로,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.
기존 매장 인수를 고려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.
📌 FAQ
1. 무인사진관 창업비용을 줄일 방법이 있나요?👉 중고 기계를 구매하거나, 권리금 없는 자리로 들어가는 것이 방법입니다.
2. 하루 매출 41만 원은 꾸준히 유지될까요?👉 경쟁이 많아지면서 매출이 점점 떨어지는 추세입니다.
3. 무인사진관이 정말 무인으로 운영되나요?👉 완전 무인은 어렵습니다. 소품 정리, 청소, 기기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.
📝 여러분의 생각은?
여러분은 무인사진관 창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